
티스토리 수익 연동해제
수익 얼마 되지도 않고 가성비 떨어져서 연동 해제했다 킼이제 지저분한 광고 안봐도 된다,,
- ETC
- · 2024. 11. 10.
https://frozenpond.tistory.com/151 [개발상식] 데이터 모델링(스키마설계 하는법, DB설계 하는법)이번 게시글에서는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 대해 정리합니다. dba가 아니더라도 RDB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최소한 알고 있어야되는 약식 스키마설계(데이터모델링) 방법은 rdb를 사용하는 사람이frozenpond.tistory.comhttps://deveric.tistory.com/108 [Database] 식별관계와 비 식별관계RDBMS의 테이블을 생성하고, 각 테이블마다 관계를 설정해 줄 때 일반적으로 외래 키를 사용하곤 합니다. 외래 키를 통해 다른 테이블과 같은 키를 공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인하여 관계를 이용deveric.tistory.com
여러분 가끔 타이핑하다가 특수문자 입력할 때 이상하게 써져서 곤란했던 적 있으신가요¿바로 이렇게。。。저는 곤란을 넘어서 화가 났습니다.왜 그동안 해결할 생각을 못했는지 저도 잘 모르겠지만 오늘은 이 한컴 입력기를 없애야겠습니다. 저는 윈도우 11을 사용합니다화면 하단 작업표시줄 우측을 보면 아래처럼 보입니다이렇게 표시가 되어있는데요 그동안 저 단축키가 눌려서 바뀌었나 봅니다아예 바뀔 일도 없게 없애주겠습니다 추가 키보드 설정을 클릭합니다 한국어의 점 3개 클릭하고 언어 옵션 클릭 제거 누르면 바로 제거됩니다다시 추가하는 거? 모릅니다
대표적인 HTTP Method에는 get과 post가 있다. GET데이터 조회할 때 주로 사용전송할 데이터를 HTTP 요청 메서드의 header에 담는다header의 url에 포함된 쿼리 스트링에 담는다캐싱이 가능하다 POST데이터 수정, 입력할 때 주로 사용전송할 데이터를 HTTP 요청 메서드의 body에 담는다캐싱이 불가능하다 get 말고 post 를 사용해야 할 경우는데이터 생성, 변경 등 원본 파일의 수정이 발생하는 경우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때전송 데이터의 양이 많을 때 참고 GET과 POST 구분하기HTTP 메소드 기본기 | RFC7231 4장과 9장에서는 요청 메서드(request methods) 구분을 설명합니다. GET 메서드는 참조에만 사용한다. GET 메서드는 부작용이 발생..
WAR (Web Application Archive) 파일용도: Jav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사용됨.구성: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 (예: HTML, CSS, JavaScript 파일).Java 서블릿, JSP 파일, WEB-INF 디렉토리 (배포 설명자 파일 web.xml 포함).배포 환경: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예: Tomcat, Jetty)에 배포.특징:웹 애플리케이션의 표준 포맷.JSP와 서블릿 같은 웹 관련 자원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 제공. JAR (Java Archive) 파일용도: Java 애플리케이션 또는 라이브러리의 패키징에 사용됨.구성:.class 파일(컴파일된 Java 코드).관련 리소스 (예: 설정 파일, 이미지).META-INF 디렉토리 (MANIFEST.MF..
디자인패턴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방법을 정리한 패턴 디자인 패턴의 구성요소패턴의 이름 - 디자인 패턴을 부를 때 사용하는 이름과 디자인 패턴의 유형문제 및 배경 - 디자인 패턴이 사용되는 분야 또는 배경, 해결하는 문제를 의미솔루션 - 디자인 패턴을 이루는 요소들, 관계, 협동 과정사례 - 디자인 패턴의 간단한 적용 사례결과 -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면 얻게 되는 이점이나 영향샘플 코드 -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원시 코드 디자인 패턴 유형목적에 따라생성 : 객체 인스턴스 생성에 관여, 클래스 정의와 객체 생성 방식을 구조화, 캡슐화를 수행하는 패턴구조 : 더 큰 구조 형성 목적으로 클래스나 객체의 조합을 다루는 패턴행위 :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..
수익 얼마 되지도 않고 가성비 떨어져서 연동 해제했다 킼이제 지저분한 광고 안봐도 된다,,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